2.1
*필요개념
딕셔너리 선언할때 형태가 중요함
키값과 밸류값으로 나뉨, 밸류값은 str이든 int든 float이든 상관없음
호출할때 키값으로 호출하면 밸류값을 얻을 수 있음
2.3
*필요개념
문자열 슬라이싱
리스트는 index가 0부터 시작함
str[ㅇ:ㅅ] 이렇게 하면 ㅅ-1 index까지 출력됨
2.5
*필요개념
객체지향 - 객체. 함수선언 - 이렇게 쓰임
객체지향이기 때문에 print(a)해도 a가 가리키는 값 = 원래 그대로 나옴
따라서 다른 객체에 새로운 값을 주어준 다음 print해야 바뀐 값이 출력됨
2.7
*필요개념
따로따로 선언한 리스트를 합치는 내장함수 join
' ' 요런 공백을 만들고 리스트 안에 있는 값들을 합친다
2.9
*필요개념
1번째줄 ok
2번째줄 [] 안에 ('a',) // 튜플
오류가 발생하는 경우
"딕셔너리의 키"로 변하는 (mutable) 값을 사용할 수 없다. 사용된 [1] 은 리스트이므로 변하는 값이다.
다른 예에서 키로 사용된 문자열, 튜플, 숫자는 변하지 않는 (immutable) 값이므로 딕셔너리의 키로 사용이 가능하다.
2.11
*필요개념
리스트는 중복으로 값을 쓸 수 있지만
집합은 중복을 쓰지 못함
8줄은 다시 list로 출력한것이고
9줄은 집합으로 표시한 것임
실수로 답지를 봤는데 두줄이면 끝나는걸 굳이 다시 리스트로 표현하였다.
'머신러닝 기초 > 점프투파이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jump2python 4장 문제 (0) | 2023.01.11 |
---|---|
jump2python 4장 개념 (0) | 2023.01.11 |
jump2python 3장 문제 (0) | 2023.01.10 |
jump2python 3장 개념 (0) | 2023.01.09 |
jump2python 2장 개념 (0) | 2023.01.08 |